본문 바로가기
플랫폼 작업노트

리눅스 시작하기 1강. 리눅스 가상머신 만들기

by 친절한 재민 2019. 8. 28.

요즘 일을 하면서 필요한 지식들을 다시 정리하다보니 다양한 영역의 글들을 소화하게 되네요. 한국의 컴퓨터 사용자들은 일반적으로 윈도우즈 운영체제(이후 OS 라고 칭함)를 많이 사용하죠. 예전에는 여러 버전이 있었지만 이제는 10에서 멈추어 있으니 심플해 졌다고 해야 하나요? 윈도우 OS 도 여러 버전이 존재하고 있어서 복잡하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을 거에요. 그런데 OS 는 윈도우 이외에도 리눅스나 맥과 관련된 OS 들이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여러 OS 를 활용하기 위해서 맥을 기본으로 사용하고 있어요. 맥은 하드웨어 준비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맥북을 사용하죠. 나름대로 맥북의 좋은 점도 발견하게 되었죠. 그렇다고 다른 OS 를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가상화 머신을 사용할 수 있는 좋은 방법들이 있죠. 오늘은 가상머신을 통한 리눅스 설치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리눅스 가상머신 만들기

 

#1 가상머신 설치  : 

 

가상머신은 여러 종류가 있기 때문에 본인에게 맞는 도구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저는 그동안 제가 쉽게 다루어왔던 VirtualBox (https://www.virtualbox.org/) 로 진행해 보고자 합니다. VirtualBox 는 데이터베이스의 공룡기업인 오라클이 제공하는 가상머신도구 입니다. 개인적인 테스트 수준의 가상머신 사용은 가볍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VirtualBox 메인화면

 

#2 가상화 이미지 생성  : 

 

 저는 Mac 에서 VirtualBox 를 설치하였습니다. 기본설정으로 진행하시면 쉽게 설치가 되기 때문에 바로 사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저는 기존에 Windows OS 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몇개의 가상화 이미지가 목록에 있는데 설치 후에는 새로 가상화 이미지를 생성해야 합니다. 메뉴에 있는 "새로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여 정보를 설정합니다.  

 

가이드 모드

 

처음에는 위와 같이 가이드 모드로 나타납니다. 한번에 세부 설정을 변경하고 싶으면 "전문가 모드" 버튼을 누르고 모드를 변환합니다. 

 

전문가 모드

 

가상화 이미지 이름을 지정합니다.  저는  "Ubuntu 18.04 LST" 라고 설정하였습니다. 이름을 지정하면 자동으로 종류와 버전도 설정이 되는 사용자 친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메모리의 크기는 하드웨어에 맞추어 지정하시면 됩니다. 저는 16G 메모리를 가지고 있지만 리눅스를 무겁게 사용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2G 의 메모리를 할당하였습니다. "지금 새 가상 하드 디스크 만들기" 를 선택하고 "만들기" 버튼을 누르면 하드 디스크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VDI 디스크 이미지

 

VirtualBox 디스크 이미지 파일인 VDI파일을 만듭니다. 저는 30GB 정도를 설정하였습니다. 윈도우를 사용할 때에는 이정도는 설정해야 최소사양으로 운영이 가능합니다. 리눅스는 더 적어도 될 것 같은데 일단 물리디스크의 용량이 여유가 있으니 30GB 로 설정합니다. "동적 할당" 으로 설정하여 향후 용량증설을 대비합니다. "만들기" 버튼을 누르면 가상화 이미지가 생성됩니다. 

 

Ubuntu 18.04 LST 가상화 이미지

 

리눅스 가상화 이미지가 정상적으로 생성되었습니다. 이제 OS 설치를 하려면 몇가지 설정작업이 필요합니다.

 

 

"일반>고급" 설정에서 클립보드와 드래그 앤 드롭 설정을 양방향으로 합니다. 이 설정은 가상화 머신과 클립보드를 공유하여 복사하고 붙여넣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하고 드래그 앤 드롭 기능으로 가상화 머신에 파일등을 전달하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시스템 메뉴에서는 부팅 순서를 조정해야 합니다. 일반 PC 설치할 때에도 마더보드 설정을 바꾸어 주는 것처럼 가상머신도 마더보드 설정에서 부팅 순서를 조정해야 합니다. 플로피 디스크는 제외시켜 버립니다. 광 디스크가 하드 디스크보다 먼저 부팅 되어야 합니다. 

 

 

시스템의 프로세스 설정에서 CPU 코어의 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1개는 너무 부족하고 2개 정도 설정하면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가상화머신의 장점은 하나의 하드웨어에서 필요할 때 켜고 불필요할 때는 중지시켜서 다양한 OS 와 사용자환경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창의적인 활동들을 많이 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설정은 기본이 NAT 로 되어 있습니다. 리눅스 네트워크 환경을 조작할 것이 아니라면 NAT 도 괜찮지만 명확한 관리를 위해서 어댑터에 브리지 설정으로 변경하고 추후에 네트워크 환경을 상세하게 관리하도록 하겠습니다. 

 

 

#3 리눅스 OS 설치 : 

 

리눅스 OS 도 다양한 종류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중에서 어떤 OS 를 선택하는 것은 단체와 개인의 성격에 따라서 천차만별입니다. 경험적으로 한국에서는 서버운영을 할 때에 CentOS 를 많이 다루는 것 같습니다. 사용지원을 원하시는 분들은 RedHat 을 선호하기도 하죠. 예전 Unix 시스템은 이제 거의 사라져 버렸죠. 저도 10년전에 대학교에서 조교업무를 한 경험이 있는데 그 때에도 유물같은 Unix 시스템들을 실습 계정을 만들어 사용하기도 했었죠. 요즘은 가성비도 문제고, 리눅스가 많이 보급되어 그런 일은 더이상 없겠죠.

 

오늘 설치하고자 하는 OS 는 Ubuntu OS 입니다. 이유는 관련 업무에서 Ubuntu 를 표준으로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실리콘벨리 출신의 벤처회사들이 시스템을 유지할 때에 안정적인 관리를 위해 Ubuntu 를 사용합니다. 최근에는 Ubuntu 18.04 LTS 버전을 권장합니다. 우분투는 매년 4월과 10월에 새 버전이 배포됩니다. 짝수 연도의 4월 버전이 LTS (Long Term Support: 장기간 지원) 버전 입니다. LTS 버전은 출시 후 5년간 지원는데 2018년 4월에 출시된 18.04 LTS 버전은 특별히 10년간 지원이 된다고 합니다. 시스템 엔지니어의 입장에서는 안정성적으로 변화가 없는 버전이 관리하기 좋습니다. 

 

Ubuntu 18.04.3 LTS (Bionic Beaver)

 

Ubuntu 설치 이미지 다운로드 사이트(http://cdimage.ubuntu.com/releases/18.04/release/)에서 해당 이미지를 다운로드 합니다. 서버용도의 ISO 파일은 889MB 정도 사이즈입니다. 저는 ubuntu-18.04.3-live-server-amd64.iso 파일을 다운받았습니다. 

 

 

OS 설치를 위해서 가상이미지의 광학 드라이브 속성을 클릭하여 다운로드한 Ubuntu 설치 ISO 파일을 지정합니다. ISO 파일을 광 디스크로 인식하여 설치를 위한 부팅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설치 이미지가 광 디스크에 정상적으로 설정 되었으면 이제 시스템을 시작시켜서 본격적인 설치작업으로 전환합니다.

 

 

언어설정 메뉴가 제일 처음에 나타납니다. 한글은 항목에 없기 때문에 영어를 선택하고 진행합니다.

 

 

키보드 레이아웃 설정입니다. 여기는 한글을 선택할 수 있으니 선택하고 넘어갑니다.

 

 

네트워크 설정화면입니다. IP 를 할당받아 고정으로 사용하고 싶지만 우선 DHCP 로 설정하고 운영모드에서 상세한 설정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프록시 주소 설정입니다. 프록시를 사용하는 것도 운영모드에서 차근차근 설명 가능하기 때문에 그냥 넘어갑니다.

 

 

저장소 위치입니다. 한국서버로 자동 지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기본설정이 있으니 그냥 넘어가도록 합니다.

 

 

파일시스템을 구성하는 화면입니다. 전체 디스크에 대한 상세 설정을 하려면 "Manual" 을 선택합니다.

 

 

설치 환경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 있는데 대략적으로 위와 같은 설정이 기본적으로 나타납니다. 기본설정으로 진행해도 이슈는 없을 것이라 보여지는데 SWAP 공간이 없는 것이 걸리기 때문에 이 부분만 추가로 설정합니다.

 

 

SWAP 영역을 ubuntu-vg 에 4G 정도 추가하고 ubuntu-lv 로 남은 용량을 모두 할당합니다. 완료를 하면 정말 적용할 것 인가에 대해서 경고 창을 띄우는데 확인하고 넘어갑니다. 

 

 

기본적인 서버의 정보와 계정 정보를 설정합니다. "jeminad" 가 사용할 로그인 아이디에 해당합니다. 

 

 

추가로 설치하고자 하는 패키지가 있는지 물어봅니다. 당장 결정하기 어려운 부분들이 많고 운영중에도 구성가능하기 때문에 일단 넘어가도록 하였습니다. 선택된 내역에 따라 설치가 진행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시스템 리부팅을 권장합니다. 

 

 

리부팅되면 로그인을 해야합니다. 생성하였던 계정과 패스워드로 정상적으로 로그인 되면 모든 과정이 완료된 것입니다. 

이제 리눅스를 통해서 구성하고자 하는 추가적인 작업들을 검토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