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작업노트6

스트리밍기술에서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는 모든 대상 엔드 포인트에 안전하게 제공 할 수있는 단일 파일 세트를 가지는 것입니다. 이를 달성하는 데 가장 도움이되는 후보는 CMAF(Common Media Application Format)입니다. CMAF는 모든 고객의 문제를 아직 다 해결할 수 없지만 표준화를 통한 노력으로 많은 변화의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CMAF 가 무엇이죠? CMAF는 ISO / IEC 23000-19로 공식화 된 세그먼트 미디어 전송을 위한 표준입니다. 특히 CMAF는 공통 암호화 (CENC)와 함께 ISO BMFF (ISO Base Media File Format) 컨테이너를 사용합니다. H.264, HEVC 및 기타 코덱 지원, WebVTT (Web Video Text ..

JWPlayer 에 대한 소개에 이어서 왜 사람들이 JWPlayer 를 왜 계속 사용하고 있는지 생각해 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생각할 때에 동영상은 집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봐도 되고 웹서비스를 만들면 Video 태그로 URL 설정만 잘하면 될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맞는 말입니다. 간단하게 동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은 많이 있습니다. 그런데 왜 굳이 사용 플레이어 제품을 사용해야 하는가? 이 부분은 비디오를 통해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수익을 만들어내는 일을 하는 모든 회사들이 피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그냥 간단하게 만들지 했는데 모바일에서 정상적으로 재생이 되지 않거나 새로나온 브라우저에서 재생이 안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얼마전까지 브라우저에서 동영상을 보려면 Flash 기반의 플레이어..

페이스북은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AWS 와 함께 빅4 라고 불리울 수 있는 글로벌 IT 회사이다. IT 엔지니어라면 누구나 취업을 꿈꾸는 회사이다. 불가피하게 이직을 고민하던 시기에 페이스북의 엔지니어 포지션이 있는 것을 확인하고 일단 손을 들어 보았다. 사실 그동안 바쁘게 실무를 하며 기술과 사업의 영역을 오가고 있었기 때문에 엔지니어 포지션에서 약간 거리가 떨어진 면이 있었지만 바짝 준비하면 되리라는 생각으로 손을 들었는데 마침 싱가폴의 인사 담당자를 통해 온라인 코딩면접 제의 받게 되었다. 온라인을 지나면 온사이트에서 코딩을 하는 2개의 과정이 있다는 것도 이번에 처음 알게 되었다. 채용 사이트를 보니 동일 지원자에 대해서 3번의 도전 기회를 제공하는 것 같다. 여기도 삼세번의 개념을 신봉하는 것..

알고리즘과 시간 복잡도는 컴퓨터공학을 배우는 이들에게는 매우 익숙한 용어입니다. 학교에서 배우는 많은 이론들 중에 하나이지만 막상 한번 들어서 이해가 안되는 상황들이 발생합니다. 왜그럴까요? 아마도 이것이 나의 삶과 어떻게 연결이 되고 있는지 실감이 나지 않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러나 오늘 이글을 소개하는 것은 이러한 개념이 향후 알고리즘을 다루는 개발자로 성장할 때에 매우 중요한 기본개념이기 때문에 상식적으로 꼭 알아두기를 바랍니다. 시간 복잡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알고리즘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알고리즘이 뭔가요? 알고리즘은 결과물을 만들어 내기 위해 거쳐야 하는 일련의 과정들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표현은 영어로 알아두면 더 도움이 됩니다. Algorithm is a series of..

블로그가 어느정도 튜닝이 되었기 때문에 이제부터는 전문분야에 관련된 내용들을 다루어보고자 한다. 특별히 동영상 미디어 분야에서 많은 경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장 잘 아는 분야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그중에서도 동영상 플레이어에 대한 소개를 이어가며 재미있는 실험들을 해보고자 한다. 시장에 여러 동영상 플레이어가 있지만 무료사용에서 상용화에 이르기까지 흠잡을 것 없는 동영상 플레이어를 찾는다면 JWPlayer 를 찾게 될 것이다. 왜 그럴까? 글을 통해 몇가지를 생각해 보겠다. 동영상 플레이어를 왜 사용하게 될까? 일반적으로 동영상은 카톡으로 전달해서 보거나 유튜브에 업로드해서 공유하면 된다고 생각한다. 가장 쉬운 접근 방법이다. 코딩을 조금 알게 된다면 서버에 동영상을 올려두고 HTML5 비디오 ..

요즘 일을 하면서 필요한 지식들을 다시 정리하다보니 다양한 영역의 글들을 소화하게 되네요. 한국의 컴퓨터 사용자들은 일반적으로 윈도우즈 운영체제(이후 OS 라고 칭함)를 많이 사용하죠. 예전에는 여러 버전이 있었지만 이제는 10에서 멈추어 있으니 심플해 졌다고 해야 하나요? 윈도우 OS 도 여러 버전이 존재하고 있어서 복잡하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을 거에요. 그런데 OS 는 윈도우 이외에도 리눅스나 맥과 관련된 OS 들이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여러 OS 를 활용하기 위해서 맥을 기본으로 사용하고 있어요. 맥은 하드웨어 준비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맥북을 사용하죠. 나름대로 맥북의 좋은 점도 발견하게 되었죠. 그렇다고 다른 OS 를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가상화 머신을 사용할 ..